2021년 기준 억대 연봉의 직장인수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하였다고 합니다.
구체적인 수치는 112.3만명이며 통계 수치가 아직 없지만
작년인 2022년 기준의 억대 연봉 근로자 수는 이보다 더 늘어났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직장인이 되기 전 취업준비할 때만 해도 연봉 1억이면 달성 불가능한 꿈의 숫자이자 약간 인생 목표라고 생각했었는데 지금은 1억 이상을 버는 직장인이 100만명이 넘는다고 하니 세월이 많이 변화함을 느끼게 되네요.
연봉 1억 직장인의 실수령액
비과세로 받는 급여가 없고 부양가족이 없는 싱글세대로 가정하였을 때 네이버 임금계산기를 통해 연봉 1억 직장인의 실수령액을 조회해보니 매월 654만원을 수령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참고로 우리 직장인들의 통장에 찍히는 실수령액은 월급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를 공제한 금액입니다.
직장인의 4대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는데 근로자가 부담하는 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3개 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국민연금 부담금액
직장인들이 부담해야하는 국민연금은 월급의 4.5% 부담인데 월급이 553만원을 초과할 경우 부담해야할 세금의 상한액이 존재합니다. 월 600만원을 벌든 월 3,000만원을 벌든 월 최대 납부액은 24만 8,850원인 것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경우 국민연금 부담금액은 248,850원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건강보험 부담금액
직장인들이 부담해야하는 건강보험료는 월급의 3.545%이며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81%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경우 건강보험료 부담금액은 295,410원, 장기요양보험료 부담금액은 37,840원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고용보험 부담금액
직장인들이 부담해야하는 고용보험료는 월급의 0.9%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경우 고용보험료 부담금액은 75,000원입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소득세 부담금액
소득세는 근로소득세 과세표준과 세율에 따라 부담하는 세금으로써 회사에서 소득세를 미리 원청징수하고 급여를 지급합니다. 차기년도 연말정산 시에는 내야했던 세금과 낸 세금을 비교하여 정산하게 됩니다.
연봉 1억 직장인의 경우 소득세 부담금액은 1,032,080원, 지방소득세 부담금액은 103,200원입니다.
우리가 꿈 꿔왔던 1억 연봉의 직장인은 각종 보험료와 소득세를 제외하고 매월 654만원을 수령 받습니다.
한 달에 150만원 정도 쓰고 500만원씩 저축한다면 20년을 모아야 10억원이 되는 것입니다.
취업준비생들이 간절히 원했던 연봉 1억원의 실수령 가치가 그렇게 크지 않은 것에 대해 많은 생각이 들게
되는 것은 왜일까요??
'경제, 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재산세 납부 : 카드사별 재산세 카드결제 혜택 한눈에 알아보기 (6) | 2023.07.17 |
---|---|
중국 대형주 3배 레버리지 YINN ETF 한눈에 알아보기 (4) | 2023.07.16 |
미국 연준(Fed)의 대차대조표 이해하기 : 지급준비금, 역레포, TGA (2) | 2023.07.13 |
성수전략정비구역 1~4지구 : 서울에서 유일하게 남은 한강르네상스 (4) | 2023.07.10 |
채권 1분만에 이해하기 : 채권의 원리, 채권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