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돈 이야기

미국 연준(Fed)의 대차대조표 이해하기 : 지급준비금, 역레포, TGA

by 경제인 초이 2023. 7. 13.
반응형

 

자본시장의 유동성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국 연준의 대차대조표 공부는 필수적입니다.

연준 대차대조표의 차변에는 채권과 금 등 기타자산이 있고

대변에는 지급준비금, 역레포, TGA(재무부 계좌) 등이 있습니다.

이 중 대차대조표의 대변은 시중 유동성을 이해하는데 핵심이기에 대변의 요소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준 대차대조표 내 지급준비금

지급준비금 계좌를 보유한 상업은행들은 중앙은행인 연준에 지급준비금을 예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지급준비금은 법정지준금 외 초과지준금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시중 유동성을 대표하는 지급준비금이 감소하게 된다면 시중 유동성이 빠져 나감에 따라 부동산, 주식 등 자산시장에는 좋지 않은 신호가 됩니다. 지급준비금이 낮아진 유동성 경색 상황에서 대규모 지준금 인출 요청이 생기면 금융시장에 커다란 충격이 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연준 대차대조표 내 역레포

역레포는 연준이 시장 투자자들에게 다시 사준다는 조건으로 채권 등을 팔고 돈을 수거해가는 것입니다. 쉽게 얘기해서 시장 투자자들이 연준 예금 계좌를 만들어서 연준으로 돈을 이체 시키는 개념입니다.  연준은 과열된 시장 유동성을 회수해서 좋고 투자자들은 이자를 받아가며 안전하게 돈을 맡길 수 있어서 좋습니다.​ '22년도에 역레포는 지급준비금과 반대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였습니다.

 

연준 대차대조표 내 TGA (미국 재무부 계좌)

TGA(미국 재무부 계좌)는 미국정부의 지갑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미국 정부의 모든 재정지출은 TGA 계좌를 거쳐야합니다. 거두어드린 세금은 이 계좌로 예치되고 재정지출에 쓰이는 돈은 여기서 인출이 됩니다. 또한 국채를 매각한 돈은 해당 계좌로 예치되고 국채 빚을 갚을 땐 이 계좌에서 돈이 인출되게 됩니다. TGA(미국 재무부 계좌) 잔액애 0이 되는 날은 미국정부가 디폴트를 선언하는 날이 됩니다.

 

오늘은 연준 대차대조표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Factor인 지급준비금, 역레포, TGA(미국 재무부 계좌)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등 자산 투자시장에 참여하고 계시는 분들은 연준의 대차대조표 흐름을 파악하는게 필수적입니다.

왜냐하면 미국의 유동성 흐름은 곧 돈의 흐름이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이해하기 다소 어려우시겠지만 익숙해지면 큰 도움이 될 개념이기에 꼭 이해하고 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