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돈 이야기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 납부대상자, 납부기간, 조회방법 알아보기

경제인 초이 2023. 7. 7. 20:43
반응형

 

매년 7월과 9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

국민의 5대 의무 중 하나인 납세 의무로써 당연히 세금을 납부해야하는 것이 맞지만 우편함으로 날아오는 세금 고지서들은 썩 유쾌하지 않으실겁니다.

오늘은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납부해야하는 세금인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산세 정의

재산세는 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조세를 의미하며 시·군·구에서 아파트 등 건축물이나 선박, 항공기 등의 해당 소유자에게 부과하는 지방세 중 하나입니다.

 

재산세 납부대상자 / 납부기간 / 과세표준 등

구 분
내 용
납부대상자
- 매년 6월 1일 기준, 주택 등 재산을 소유하고 있는 자
납부기간
- 1기분 : 매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 매년 9월 16일 ~ 9월 30일
 ※ 마감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까지
가산금
- 가산금 : 납부기한이 지난날부터 3% 가산
- 중가산금 : 납부기한이 지난날부터 1개월이 지날 때마다
                    매월 0.75%씩, 최장 60개월 가산
과세표준
- 주택 : 주택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60%
  ※ 1세대 1주택자는 공정시장가액비율 43%~45% 적용
세부담 상한제도
- 주택공시가격 3억원 이하 : 105%
- 주택공시가격 6억원 이하 : 110%
- 주택공시가격 6억원 초과 : 130%

 

재산세 조회방법 - 스마트 위택스 어플

1. 스마트 위택스 어플 설치 후 공인인증서 로그인

2. 화면 상단에 납부할 금액 클릭 및 재산세 납부

 

재산세 세액계산 (재산세 / 도시지역분 / 지방교육세 / 지역자원시설세)

① 재산세 : (과세표준 x 세율) - "지방세특례제한법"에 따른 감면세액 - 세부담상한

② 도시지역분 : 재산세 과세표준 x 0.4%

③ 지방교육세 : 재산세 납부할 세액 x 20%

④ 지역자원시설세 : 과세표준 x 세율

 

 

여기까지 유주택자라면 매년 납부해야하는 재산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금년도 1기분 재산세는 납부기한은 7월 31일 월요일까지이기에 그 전에 재산세 납부를 꼭 하셔서

가산세를 내는일이 없도록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